좋아하는 음식을 물으면, 가장 먼저 스테이크나 불고기 등 고기 요리가 떠오르는 남성은 많을 것인데, 우리나라를 포함한 23개국의 남녀 고기 소비 행태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나라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고기를 자주 먹는 것과, 남녀 평등이 진행되고 있는 나라일수록 남녀 소비량의 차이가 큰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리히대 연구팀은, 2024년 6월 13일자 과학지 "Nature"에 실린 이번 연구에서, 23개국에 사는 2만802명의 식육 소비와 사회, 경제 발전 수준의 관계를 조사.
고기를 얼마나 먹는지에 대한 데이터는, 온라인 조사 플랫폼 Cint를 통한 설문조사로 수집되었으며, 각국에서 약 1000명씩 모집된 참가자들은 질문에 "1: 고기를 전혀 먹지 않는다"부터 "11:1 하루에 두 번 이상 먹는다"까지의 숫자로 응답했다.
또, 사회경제 발전 현황 데이터는 유엔이 발표한 2021년 "인간개발지수(HDI)"와, 세계경제포럼이 2021년 발표한 "글로벌 젠더 갭 지수(GGGI)"를 사용했다.
먼저, 설문 결과를 집계했더니, 거의 모든 나라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더 자주 고기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3개국 중 남녀 고기 소비량이 거의 변하지 않은 곳은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3개국뿐이었다.
또, 고기 소비량의 남녀 차이가 가장 컸던 곳은 독일, 아르헨티나, 폴란드, 영국으로, 성평등과 사회경제 발전 수준이 높은 나라일수록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다음은, 전체적인 고기 소비량으로 분류한 지도로, 붉을수록 소비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남녀를 합한 고기 소비량이 가장 많은 곳은 태국이었고, 중국과 미국이 그 뒤를 이었다.
그리고, 다음은 고기 소비량의 남녀 차이 지도로, 붉을수록 남성이 고기를 먹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앞서 설명한 대로 가장 남녀 차이가 컸던 곳은 독일이었고, 반대로 가장 적었던 곳은 중국이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문화나 국가를 불문하고 기본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고기를 선호하기 쉽다는 가설이 있다는 것. 예를 들어, 한 연구자는 "여성은 월경 중이나 임신 중 호르몬 변화를 통해 면역이 억제되기 때문에, 병원균이 있을 확률이 높은 고기를 피하려는 것이 아니냐"고 주장했고, 또 다른 연구자는 "남성들은 우수한 사냥꾼이어야 하는 사회 속에서, 사냥의 성과인 고기의 맛을 중시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가설이나 이번 연구 결과로부터, 연구팀은 "성평등이 진행되거나 사회가 발전하거나 함으로써, 여성은 고기를 피하는 선택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남성은 고기를 사 먹는 빈도를 늘릴 수 있게 되는 것이 아닐까요"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고기 소비 경향에 대해 밝힌 이번 연구는, 고기 소비량을 줄여 기후 변화를 막는 향후 대처에 도움이 될 가능성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나 경제가 발전하고 있는 나라에서는, 원래부터 무엇을 먹을 것인지에 대한 선택지가 풍부하기 때문에, 식물 기반의 대체육이나 배양육의 소비를 장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반대로, 발전 수준이 낮은 국가는 축산업이나 경제 시스템이 비효율적이고 환경의식도 낮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식물 기반의 대체육이나 배양육을 더 많이 생산하도록 장려하는 것이 효과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팀은 논문에 기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