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에 당한 괴롭힘의 폐해가 어른이 되어도 계속된다는 연구 등, 유년기의 환경이 그 후의 인생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주는 연구는 많이 존재하고, 게다가 부모나 자신의 유전자는 커녕, 학교 다닐때 동급생의 유전자까지도 정신 질환등의 건강 문제 리스크와 관계하고 있다고 하는 논문이, 미국 정신 의학회가 발행하는 사독 첨부 의학 잡지·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에 발표되었다.

미국 럿거스대 연구팀은, 친구의 유전자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즉 '친구의 사회적 유전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17세~30세 개인의 의료기록 약 65만 건을 수록한 스웨덴 조사 데이터를 분석.
분석에서는, 우선 각 개인의 약물 남용이나 정신 장애의 위험이 매핑되고, 거기에서 의존증이나 기분 장애가 유전적 특징에 뿌리내리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족의 유전적 위험 점수'가 산출되었다.
연구팀은 이어, 데이터를 지역이나 출신 학교의 정보와 대조해, 유전적 위험 점수와 학교 동급생이나 지역사회 구성원이 비슷한 결과를 경험하는 경향 사이의 관계를 살펴봤다.
그 결과, 다양한 건강 문제에 관한 유전자적 위험이 높은 사람과 사귀고 있던 사람은, 비록 자신의 유전자에 같은 위험이 없었더라도 같은 문제가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연구팀은 "정신 질환이나 약물 사용 장애에 대한 또래의 유전적 소인은, 개인이 성인기의 젊은 시기에 같은 질환이 발병할 위험과 관련하고 있었습니다. 이 데이터는 사회적 유전적 영향이 광범위하다는 것을 예증하고 있습니다"라고 언급.

소시오게노믹스라고 불리는 이 새로운 연구 분야에서는, 어떤 사람의 유전자형이 다른 사람의 어떤 경향으로 표면화되는지가 연구되고 있으며, 이번 연구와 같은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도 몇 가지 나와 있지만, 왜 그렇게 되는지는 해명되지 않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에, 약물 사용 장애, 알코올 사용 장애, 심한 우울증, 불안 장애 등의 문제에 초점을 맞췄는데, 이러한 건강 문제가 과거 동료로부터의 영향일 가능성은 제각각이지만, 특히 물질 사용 장애에 대한 영향은 현저하여, 같은 고등학교에 다닌 친구 그룹 사이에서는 위험이 최대 59%나 증가했다고 한다.
영향은 학교에만 머무르지 않고, 같은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도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이 관찰되었으며, 그 정도는 16~19세 시기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그러나, 성인이 되고 나서 건강 문제가 발병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보고되고 있다.
흥미롭게도, 친구 유전자의 영향은 친구가 특정 건강 문제를 안고 있지 않아도 존재했는데, 예를 들어, 유전적으로 알코올 문제가 발병할 위험이 높은 동급생과 같은 학교에 다녔던 사람은, 그 동급생이 알코올 문제를 안고 있지 않았더라도 훗날 알코올 문제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았다고 한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우리 분석에서는 동료가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제어한 후에도, 동료의 유전적 소인이 대상자의 장애 위험과 관련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라고 설명.
학교 친구들의 행동에 영향을 받는 것 자체는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유전적인 관련을 파고든 이번 연구에서는, 보다 깊은 생물학적인 차원에서의 메커니즘이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팀은 향후, 이 지견을 정신 질환등의 건강 문제의 진단이나 치료의 개선에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새로운 조사에 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