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나쁜 음식을 피하기위해 단 2분만에 할 수있는 대책은?

머리에서는 "칼로리가 너무 많거나 설탕이 너무 많이 들어간 요리는 몸에 나쁘다"라고 이해하고 있는데, 몸에 나쁜 음식은 이상하게 맛있게 느껴지고 참을 수없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그런 몸에 나쁜 음식을 참기위해, 연구자들이 "단 2분의 간단한 대책"을 찾아냈다고 한다.



요리의 냄새는 사람이 음식을 입보다 멋저 느끼게 되며, 앞으로 먹을 것이 얼마나 맛있는 것인지, 어떤 맛이 날 것인가하는 것에 대해 냄새로 사람은 느끼고 있다.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의 연구팀은, 요리가 풍기는 냄새 자체가 뇌의 보상 시스템에 작용한다고 지적하고 "실제로 요리를 먹지 않아도, 냄새만으로 사람은 만족한다"라고 생각.


연구팀은 슈퍼마켓이나 학교 식당을 이용해, 사과와 딸기, 피자, 쿠키 등 음식 냄새를 식당내에 풍기게하여, 사람들이 구입하는 재료와 요리에 어떤 변화가 나오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피자와 쿠키 등보다 건강에 해로운 음식 냄새를 맡았던 참가자는 보다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라는 것을 발견했다는 것.




예를 들어 900명의 어린이가 점심을 먹는 식당에서, 사과 냄새를 풍기게하면 유해한 음식을 선택할 어린이는 전체의 약 37%이며, 무취의 상태에서 유해한 음식을 선택하는 어린이의 비율과 거의 같은 정도....한편, 식당에 피자 냄새를 풍겼을 경우, 유해한 음식을 선택한 비율이 21% 정도까지 감소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그 후, 연구실에서도 후속 연구를 실시한 결과, 건강에 해로운 음식 냄새가 단순히 건강에 해로운 음식에 대한 욕구를 저하시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도 밝혀졌다.


연구팀이 참가자에게 쿠키의 냄새를 맡게하고, 그 후 먹고 싶은 요리를 선택하게 한 결과, 쿠키의 냄새를 "30초"라는 짧은 시간에 냄새를 맡은 참가자들은, 건강한 요리보다는 오히려 유해한 음식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라는 것. 쿠키의 냄새를 맡아본 참가자들이 더 건강한 음식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냄새를 "2분 이상" 맡아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고 한다.


이전부터 요리의 냄새와 식욕에 관련이 있다는 말들이 있었지만, 이번 연구에서도 냄새에 민감한 사람 일수록 냄새에 의한 음식 선택의 영향을 받기 쉬웠다는 것. 연구팀은 "유해하고 맛있는 음식에 대한 냄새를 장시간 냄새만으로 보상 시스템이 만족하고, 유해한 음식에 대한 욕구가 억제되는 것이 아닐까"라고 말하고있다.



연구팀은 "짧은 시간 동안 맛있는 냄새를 맡아서 보상 체계가 자극되면, 더 보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되어 유해한 음식을 선택하게된다. 한편, 오랫동안 유해한 정크 음식 냄새를 맡으면, 정말 먹지 않아도 보상 체계가 요리를 먹은 것과 같은 만족감을 얻는것이 아니냐"라는 가설을 가지고있다.


연구팀의 Dipayan Biswas 씨는 "주변의 공기에 혼합 된 냄새가, 사람이 유해하고 맛있는 음식에 저항하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있다"고 말하고 있고, 냄새를 이용하여 아이들이나 다이어트가 필요한 사람들의 식습관을 개선 할 수 있다고 말하고있다.